장마기간이 시작되면서 집안에 습도가 높아지고 실내에서 수건이나 옷감 등 빨래를 건조하는 경우 냄새 제거가 쉽지 않습니다. 장마철에 빨래에서 나는 냄새를 없애기 위해서 시도해본 여러 가지 방법과 효과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주부들 뿐만 아니라 1인 가구의 경우에도 빨래 실내 건조를 하시는 분들은 간단하고 쉽게 시도해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빨래 냄새 원인
(1) 세균과 습도
비 오는 날이 장기간 이어지면 실내 습도가 높아지고 평소보다 빨래 마르는 속도가 늦어지면서 섬유에 세균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됩니다.
(2) 세탁조 곰팡이 및 세균
세탁조 안에 곰팡이가 번식해있는 경우 냄새가 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장마철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세탁할 때 섬유유연제를 사용해도 냄새가 쉽게 제거되지 않습니다. (세제 또는 섬유유연제를 업체에서 제공하는 정량보다 과다 사용하면 잔여물이 세탁기 내부에 남아 오염시킬 수 있습니다.)
(3) 젖은 빨래 방치
사용한 수건이나 땀에 젖은 의류 등 젖은 빨래를 세탁기 안에 계속 두거나 쌓아둔 경우 세탁물의 세균 증식으로 인해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또한 세탁 후 탈수가 완료된 세탁물은 오래 두지 말고 바로 꺼내서 건조해야 합니다.
빨래 냄새 제거 방법
가장 편리하고 효과가 좋은 방법은 당연히 건조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건조기가 없다면 제습기를 두고 쓰는 것도 좋지만 이 두 가지가 모두 없을 경우 간단한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식초 또는 구연산
마지막 헹구는 단계에서 섬유유연제 대신 식초를 큰 수저로 2~3 정도 적당량 넣어줍니다. 섬유 속 세균을 제거하고 수건의 경우 부드러운 유연제 효과도 있습니다. 식초 특유의 냄새는 빨래 후 없어집니다. (빨래를 삶는 경우에도 활용)
(2) 베이킹 소다
처음 세탁기 돌리기 전에 베이킹 소다를 종이컵 기준으로 1/3 정도 넣고 세탁하면 냄새 제거에 효과가 있습니다.
(3) 세탁조 청소
장마철이 아닌 날에도 주기적으로 세탁조 전용 클리너 세제 또는 과탄산 소다를 넣고 미지근한 물에 통세척이나 표준 코스로 돌려 세제 잔여물 또는 곰팡이를 청소해야 합니다. (횟수는 세탁기 사용 30회에 1번씩 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합니다.) 특징은 잔여물이 오랜 기간 동안 많이 쌓여있을 경우 한동안 세탁기를 사용할 때마다 잔여물이 계속해서 나올 수 있습니다.
(4) 셀프 빨래방 이용
장마철에 실내건조가 어려운 옷감이나 이불 등 세탁물이 있다면 차라리 무인 빨래방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강한 세탁과 빠른 건조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까운 셀프 빨래방을 이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빨래가 끝난 후 Point
(1) 선풍기
빨래를 실내 건조할 때 선풍기를 빨래 건조대 방향으로 놓고 회전으로 강하게 켜놓습니다. 환기가 어려운 장마철에 그나마 도움이 됩니다.
(2) 실내건조
비가 오는 날은 빨래를 베란다 같은 외부에서 건조하지 말고 실내에서 건조해야 합니다.
(3) 신문지
빨개 아래쪽에 신문지를 깔아 두면 신문지가 습기를 흡수해서 건조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비 오는 날 빨래 건조할 때 가장 효과가 좋았던 것은 식초를 활용한 방법이었습니다. 식초를 사용하면 의류나 수건이 좀 더 부드럽고 냄새 제거에도 확실히 효과가 있었습니다. 수건은 장마철이 아닌 평소에도 냄새 제거가 되지 않는 다면 약 6개월에 한 번씩 새것으로 교체해 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높은 습도로 인해서 세균과 곰팡이가 생기기 쉬운 장마철에 건조기가 없다면 간단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깨끗하게 세탁물 관리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일상 생활 지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몽차 효능과 부작용 체크 (0) | 2022.06.28 |
---|---|
상병수당 시범사업 신청방법과 대상지역 체크 (0) | 2022.06.27 |
토마토 효능과 맛있게 먹는 방법 정리 (0) | 2022.06.23 |
원숭이 두창 증상과 국내 첫 의심 환자 발생 정보 체크 (0) | 2022.06.22 |
2022년 하지 뜻과 먹는 음식 총정리 (0) | 2022.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