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동지 날짜 및 먹는 음식 (애동지) 확인
본문 바로가기
일상 생활 지식 정보

2023년 동지 날짜 및 먹는 음식 (애동지) 확인

by 희림* 2023. 11. 8.
반응형

 

2023년 연말이 다가옵니다. 올해 동지 날짜와 동짓날 먹는 음식 그리고 팥죽 먹지 않는 이번 애동지 외에 중동지, 노동지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점점 잊혀가는 우리나라 전통문화와 명절이 많은데 이번 동짓날에는 가족 또는 친구, 이웃들과 함께 동지 음식을 함께 나누어 먹고 좋은 추억을 남겨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2023년-팥죽-먹지-않는-애동지-동지-날짜-문구와-팥죽이-흰색-그릇에-담겨있는-사진
동짓날 날짜와 음식

 

2023년 동지 날짜

올해는 12월 22일 금요일이 동지입니다. (애동지, 중동지, 노동지 중 올해는 집안에 어린아이가 있는 경우 팥죽대신 팥떡을 먹는 애동지입니다.)
(양력) 12월 22일
(음력) 11월 10일
 
동짓날이란
밤이 연중 가장 긴 날로 양력 12월 22일이나 23일 무렵에 들며 24 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입니다.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어지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인데 본격적인 겨울을 알리는 날입니다.
 
동짓날 종류와 음력 날짜
음력으로 동지가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동지'라고 부르고 중순에 들면 '중동지' 하순에 들면 '노동지'라고 부릅니다.

  • 음력 동짓달 초순 ( 초하루~10일)
  • 중순 (11일 ~ 20일)
  • 하순 (21일 ~ 말일)


팥죽을 먹지 않는 애동지
2023년 올해 동짓날은 음력으로 11월 10일이라 '애동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동지에 꼭 팥죽을 먹는 것이 아니라 애동지, 중동지, 노동지마다 음식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애동지에 팥죽을 하면 집안에 어린이가 있는 경우 아이들이 피부병이 생기거나 아플 수 있다고 전해지는 말이 있어서 팥죽을 먹지 않고 팥시루떡이나 팥밥을 해 먹는 풍습도 전해지지만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러한 풍습이 있다는 것만 참고하시면 됩니다.
 
동짓날 먹는 음식 팥죽 유래
동지 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동짓날 새알심을 넣어서 동지 팥죽을 나누어 먹고 다음 해 달력을 선물하는 풍습이 있는데 팥은 액운을 쫓는다는 의미입니다. 긴 겨울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동짓날이기도 하지만 다음 해 새로 시작되는 한 해에 나쁜 기운을 쫓는 의미로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동지에 하면 좋은 일
가족 또는 이웃, 동료, 친구들과 함께 액운을 쫓는 의미의 팥으로 만든 음식을 나누어 먹는 것도 좋고 동짓날부터는 올 한 해를 정리하며 다음 해에 자신이 이루고 싶은 일에 대한 새로운 계획을 세우고 구체적으로 실현 방법을 생각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올해 동지 날짜와 동짓날 먹는 음식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애동지에 어린이가 있는 집안은 팥죽을 먹으면 안 된다는 것은 미신이라 치부할 수 있지만 겨울에 들어섬과 동시에 올 한 해 나쁜 일은 쫓아내고 새로운 해에 좋은 일만 생기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가족들과 팥떡, 팥빵 등 팥을 이용해 만든 음식을 정겹게 나눠 먹으며 하나의 전통적인 풍습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